맨위로가기

루도비코 스포르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도비코 스포르차는 1452년 밀라노에서 태어나, 1476년 조카 잔 갈레아초 스포르차의 섭정이 된 후 사실상 밀라노를 지배했다. 그는 페라라 공작의 딸 베아트리체 데스테와 결혼하여 세 자녀를 두었으며, 많은 예술가들을 후원하여 르네상스 문화를 발전시켰다. 1494년 프랑스 샤를 8세의 이탈리아 원정을 부추겼으나, 프랑스와의 갈등으로 몰락하여 1500년 프랑스군에 체포되어 1508년 감옥에서 사망했다. 그는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를 모두 받으며, 19세기 미술과 문학 작품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제바노 출신 - 보나 스포르차
    보나 스포르차는 밀라노 공작의 딸로, 지그문트 1세와의 결혼을 통해 폴란드 왕비이자 리투아니아 대공비가 되었으며, 르네상스 문화 전파와 정치적 영향력 행사, 왕실 재정 강화, 외교 정책 참여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나 말년에는 이탈리아로 돌아간 후 암살 의혹을 받았다.
  • 비제바노 출신 - 잔카를로 로타
    잔카를로 로타는 이탈리아 출신의 수학자이자 철학자로, 조합론 연구에 기여했으며,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다가 1999년 심장병으로 사망했다.
  • 1508년 사망 - 르네 2세 드 로렌 공작
    르네 2세 드 로렌 공작은 1473년 로렌 공작이 되어 낭시 전투에서 승리하여 부르고뉴 전쟁을 종식시켰으며, 보데몽 백작과 바르 공작 작위를 상속받고 가문을 번성시킨 인물이다.
  • 1508년 사망 - 조반니 2세 벤티볼리오
    조반니 2세 벤티볼리오는 15세기 볼로냐의 군주이자 콘도티에로로, 도시를 통치하며 미관을 개선하고 예술을 후원했으나, 체사레 보르자에게 저항하다 교황에게 파문당하고 권좌에서 물러난 후 포로로 사망했다.
  • 이탈리아 전쟁 관련자 - 미켈레 안토니오 디 살루초 후작
  • 이탈리아 전쟁 관련자 - 가스통 드 푸아느무르 공작
    프랑스의 귀족이자 군인이었던 가스통 드 푸아는 푸아 백작 가문 출신으로, 캉브레 동맹 전쟁에서 프랑스군 총사령관으로서 뛰어난 군사적 재능을 보였으나 라벤나 전투에서 전사하여 이탈리아 전쟁의 판도에 영향을 미쳤다.
루도비코 스포르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팔라 스포르체스카의 세부 묘사
루도비코의 초상화, 1494–1495년 (피나코테카 디 브레라 소장)
이름루도비코 스포르차
로마자 표기Ludovico Maria Sforza
별칭il Moro (일 모로)
출생일1452년 8월 3일
출생지밀라노, 밀라노 공국
사망일1508년 5월 27일 (55세)
사망지로슈 성, 프랑스 왕국
가문스포르차 가문
통치
작위밀라노 공작
재위 기간1494년 10월 21일 – 1499년 9월 6일
이전 통치자잔 갈레아초 스포르차
다음 통치자루이 12세
섭정밀라노 섭정
섭정 기간1480년 10월 7일 – 1494년 10월 21일
섭정 대상잔 갈레아초 스포르차
섭정 유형군주
가족
배우자베아트리체 데스테
자녀마시밀리아노 스포르차
프란체스코 2세 스포르차
조반니 파올로 1세 스포르차 (사생아)
비앙카 조반나 스포르차
기타
아버지프란체스코 1세 스포르차
어머니비앙카 마리아 비스콘티

2. 일대기

1476년 조카 잔 갈레아초의 섭정이 되었지만, 사실상 밀라노의 지배자가 되었다. 나폴리 왕국의 공주와 결혼한 조카 잔 갈레아초 등을 스포르차 성에서 몰아냈고, 포를리의 리아리오 가문에 시집간 조카 카테리나(잔 갈레아초의 이복 누나)와도 거리를 두게 되었다.

1499년 루도비코의 후원자인 신성 로마 황제의 합스부르크 가문이 프랑스 왕국과 대결하면서 신성 로마 제국에 가담했다. 1500년 잔 자코모 트리불치오가 이끄는 프랑스군이 스포르차 성을 포위했을 때, 스위스 용병을 거느리고 있었으나 1500년 노바라 전투에서 배신당해 궁지에 몰렸다.

일부 스위스 용병의 호의로 스위스 용병으로 변장하여 탈출을 시도했으나, 500 크로네의 보수에 끌린 우리 주의 용병 대장 루돌프 투르만의 밀고로 루돌프의 부하들에게 붙잡혀 프랑스군에 넘겨졌다. 이는 '노바라의 배신'으로 알려져 있다. 루도비코는 1508년까지 투옥되어 감옥에서 죽었다.

페라라 공 에르콜레 1세 데스테의 차녀 베아트리체와 결혼하여 후계자인 마시밀리아노, 프란체스코 등 3명의 자녀를 두었다. 또한 많은 애첩을 두었는데, 그중 체칠리아 갈레라니가 서자 체사레를, 루크레치아 크리벨리가 Giovanni Paolo I Sforza|조반니 파올로영어를 낳았다.

2. 1. 출생과 성장

롬바르디아 비제바노에서 밀라노 공작 프란체스코 1세 스포르차와 비앙카 비스콘티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147][8] 1452년 8월 3일생이다.[6][7] 넷째 아들이었기에 공작 지위에 오를 가능성은 적었지만, 어머니 비안카는 르네상스 정신에 따라 루도비코가 고전 문헌 읽기를 포함한 폭넓은 교육을 받도록 했다.[9]

프란체스코 필렐포(Francesco Filelfo), 조르조 발라구사(Giorgio Valagussa) 등 여러 스승에게서 그리스어, 라틴어, 신학, 회화, 조각을 배웠고, 국가 통치와 행정에 대한 교육도 받았다. 펜싱, 사냥, 레슬링, 승마, 점프, 춤, 로프볼 게임 등 신체 단련도 교육에 포함되었다.[9]

치코 시모네타(Cicco Simonetta)는 루도비코를 아버지 프란체스코 스포르차의 자녀 중 가장 박식하고 학습 속도가 빠른 아이라고 묘사했다. 부모는 그에게 특별한 관심을 보였는데, 그들의 광범위한 서신이 이를 증명한다. 일곱 살 때 어머니와 형제들과 함께 피우스 2세(Pope Pius II)가 만토바를 방문했을 때 환영했는데, 이는 루도비코가 공식 석상에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열한 살 때 아버지에게 라틴어로 연설문을 헌정했다.[10] 어린 시절은 형제자매들과 밀라노 브로레토 베키오 궁전과 파비아(Pavia) 비스콘티 성에서 보냈다.[11]

1491년 1월, 에르콜레 1세 데스테의 어린 딸 베아트리체 데스테와 결혼하였다. 잔 갈레아초 스포르차의 누이 안나 스포르차는 베아트리체의 남동생 알폰소 데스테와 결혼하였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도나토 브라만테가 결혼식 축전 감독을 맡았다.[148]

베아트리체 데스테


체칠리아 갈레라니는 루도비코가 가장 총애한 애인이었다. 루도비코와 베아트리체 데스테의 결혼식과 같은 해에 그녀는 루도비코의 아들을 낳았다. 그녀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흰 족제비를 안은 여인의 모델로 추정되며, 흰 족제비는 루도비코의 문장에 그려진 짐승이었다.

2. 2. 권력 장악 과정

루도비코 스포르차의 가계도


1476년 루도비코의 형 갈레아초가 암살당하자, 그의 일곱 살 난 조카 잔 갈레아초 스포르차가 공작 자리를 이어받았다.[149] 보나가 섭정을 맡았으나, 루도비코와 권력 투쟁이 벌어졌다. 루도비코는 초반에 추방당하기도 했지만, 반격하여 형수를 축출하고 실권을 장악했다. 그는 조카를 무시하고 실제 군주처럼 행동했으며, 섭정에 만족하지 않고 권력 찬탈을 시도하여 조카가 성년이 된 후에도 섭정에서 물러나지 않았다.[150]

1488년, 루도비코는 조카 잔 갈레아초를 나폴리 왕 페르디난도 1세의 손녀딸 이사벨라 공주와 결혼시켜 나폴리와 동맹을 맺었다. 또한 아우인 아스카니오 추기경을 통해 교황 알렉산데르 6세와도 동맹을 맺고, 피렌체로렌초 데 메디치와도 좋은 관계를 유지하며 지위를 굳건히 하려 했다.

그러나 루도비코의 만행이 심해지자, 조카 며느리 이사벨라가 그의 월권행위에 항의하며 할아버지 페르디난도 1세에게 도움을 요청했다.[150] 잔 갈레아초 역시 장인 알폰소(이사벨라의 부친)에게 하소연했다. 1492년, 페르디난도 1세는 루도비코에게 공작령 통치권을 이사벨라와 잔 갈레아초에게 양보하라고 명령했지만, 루도비코는 거부했고 나폴리 왕국과 갈등이 시작되었다.

루도비코는 나폴리를 견제하고 자신의 통치권을 공고히 하기 위해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와 혼인 동맹을 맺었다.[151][152] 1494년 3월 16일, 루도비코는 여조카 비앙카(잔 갈레아초의 누나)와 막시밀리안 1세의 결혼을 성사시켰다. 그는 막대한 지참금을 지불하고 그 대가로 막시밀리안 1세에게 밀라노 공작 칭호를 받아냄으로써 권력 찬탈을 합법화했다. 아버지 프란체스코 1세가 1450년 밀라노 공작에 오른 후 주변국들로부터는 새로운 공작으로 인정받았으나, 유일하게 신성 로마 제국 황제에게는 인정받지 못했었다. 그래서 이번 결혼 동맹을 통해 스포르차 가문의 밀라노 공작 계승을 인정받는 기회로 삼았다.

루도비코는 프랑스와도 동맹을 맺고, 샤를 8세의 이탈리아 원정을 부추겼다. 이는 갈등 관계에 있는 나폴리의 세력을 약화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샤를 8세가 평소 페르디난도 1세로부터 나폴리 왕국을 빼앗으려는 야심을 품고 있음을 알고 이를 이용하려 한 것이다. 1494년 10월, 프랑스 군은 밀라노의 지원 속에 이탈리아 원정을 감행했고, 밀라노에 도착한 샤를 8세는 루도비코의 통치권을 옹호했다. 샤를 8세가 군대를 이끌고 나폴리로 떠난 후, 조카 잔 갈레아초가 사망하자 10월 22일 루도비코는 밀라노 귀족들의 용인 아래 공식적으로 밀라노 공작 자리에 올랐다.

2. 3. 밀라노 공작 통치

갈레아초 마리아 스포르차가 암살당한 후, 그의 아들 잔 갈레아초 스포르차가 공작 자리에 올랐으나, 당시 나이가 일곱 살에 불과했다.[149] 섭정을 맡았던 사보이의 보나와 권력 투쟁을 벌인 끝에 루도비코는 실권을 장악했다.[150] 조카가 성년이 되었음에도 섭정에서 물러나지 않고, 사실상 군주 행세를 했다.

1488년, 루도비코는 조카 잔 갈레아초를 나폴리 왕 페르디난도 1세의 손녀딸 이사벨라 공주와 결혼시켜 나폴리와 동맹을 맺었다.[150] 또한, 아우인 아스카니오 마리아 스포르차 추기경을 통해 교황 알렉산데르 6세와도 동맹을 맺고, 피렌체의 로렌초 데 메디치와도 좋은 관계를 유지하며 지위를 굳건히 하려 했다.

그러나 잔 갈레아초의 아내 이사벨라가 루도비코의 월권행위에 항의하며 페르디난도 1세에게 도움을 청하면서 문제가 발생했다.[150] 페르디난도 1세는 루도비코에게 통치권을 양보하라고 명령했지만, 루도비코는 거부했고 나폴리 왕국과 갈등이 시작되었다.

루도비코는 나폴리를 견제하고 자신의 통치권을 공고히 하기 위해, 1494년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막시밀리안 1세와 혼인 동맹을 맺었다.[151][152] 여조카 비앙카 마리아 스포르차와 막시밀리안 1세의 결혼을 성사시키고, 막대한 지참금을 지불하는 대가로 밀라노 공작 칭호를 받아 권력 찬탈을 합법화했다. 이는 스포르차 가문의 밀라노 공작 계승을 인정받는 기회이기도 했다.

1494년, 샤를 8세의 이탈리아 침공으로 피렌체가 항복하고 피사를 프랑스에 주둔지로 내주자, 피사는 독립을 선언했다.[153][154] 피렌체는 피사를 탈환하기 위해 전쟁을 시작했고, 루도비코는 피렌체를 견제하기 위해 피사를 지원하며 신성 로마 제국을 끌어들였다. 막시밀리안 1세는 전쟁에 개입했지만, 이는 오히려 피렌체가 프랑스를 끌어들이는 결과를 낳았다.

루도비코는 농업에 큰 관심을 가지고 뽕나무 재배와 양잠 산업을 발전시켰다.[113] 비제바노 근처에 '스포르체스카'라는 농장을 세우고, 관개 시설을 확충하는 등 농업 발전에 힘썼다.[113] 레오나르도 다 빈치를 고용한 것도 이러한 관심사와 관련이 있다.[113]

또한, 말과 소 사육, 금속 산업에도 투자했으며, 견직물 산업은 약 2만 명의 노동자를 고용할 정도로 번성했다. 운하와 요새 건설 등 토목 사업을 후원하고, 밀라노 대성당과 파비아의 체르토사 공사를 계속했으며, 밀라노의 거리를 확장하고 정원으로 장식했다. 파비아 대학교도 그의 치세 아래 번영했다. 그러나 이러한 사업을 지원하기 위한 과중한 세금 징수로 인해 폭동이 발생하기도 했다.

2. 4. 이탈리아 전쟁 개입과 몰락

루도비코는 프랑스와 동맹을 맺고, 나폴리 왕국과의 갈등 관계를 이용해 샤를 8세의 이탈리아 원정을 부추겼다.[155] 1494년 10월, 프랑스 군은 밀라노의 지원을 받으며 이탈리아 원정을 감행했고, 샤를 8세는 밀라노에서 루도비코의 통치권을 옹호했다. 샤를 8세가 나폴리로 떠난 후, 조카 잔 갈레아초가 사망하자 루도비코는 밀라노 공작 자리에 올랐다.

샤를 8세는 손쉽게 나폴리를 정복했지만, 밀라노 계승권을 주장하며 이탈리아 전역을 혼란에 빠뜨렸다. 예상치 못한 결과에 루도비코는 위험을 느끼고 베네치아 공화국이 주도하는 반(反)프랑스 동맹에 가입, 1495년 포르노보 전투에서 프랑스군을 물리쳤다.

1498년 샤를 8세 사후, 루이 12세는 밀라노 계승권을 주장하며 1499년 롬바르디아를 침공했다. 루이 12세는 루도비코의 권력 찬탈과 비스콘티 가문의 정통성을 문제 삼았다.[155] 그는 할머니 발렌티나를 통해 혈통을 물려받았으므로 자신이 정통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루이 12세는 신성 로마 제국, 영국, 스페인 등과 우호적 조약을 맺고 1499년 7월, 27,000명의 군대를 이끌고 알프스를 넘어왔다. 루도비코는 두 아들과 함께 합스부르크 왕궁이 있는 인스부르크(Innsbruck)로 피신했다.[156][145] 1500년, 루도비코는 밀라노를 되찾았으나,[146] 노바라가 프랑스 군에 포위되었다. 스위스 용병들은 자국인끼리 싸우고 싶지 않아 노바라를 버리고 돌아갔다. 1500년 4월, 루도비코는 스위스인으로 변장하여 탈출을 시도하다 프랑스 군에 붙잡혔고, 10월 6일 밀라노는 프랑스군에 정복당했다.

아내 베아트리체 데스테의 사망으로 정치적 조언과 용기를 잃은 루도비코는, 1500년 노바라 전투에서 스위스 용병의 배신으로 궁지에 몰렸다. 스위스 용병으로 변장하여 탈출을 시도했으나, 우리 주 용병 대장 루돌프 투르만의 밀고로 프랑스군에 붙잡혔다. 이는 '노바라의 배신'으로 알려져 있다. 루도비코는 1508년까지 투옥되어 감옥에서 죽었다.

2. 5. 사망

프랑스샤를 8세가 1498년에 사망한 후 왕위를 계승한 루이 12세밀라노 공국의 계승권을 주장하며 1499년 롬바르디아를 침공했다. 루이 12세는 루도비코가 권력을 찬탈했다고 주장했는데, 1494년에 밀라노 공작이었던 잔 갈레아초 스포르차가 죽자 그의 숙부인 루도비코가 독살했을 것이라는 소문이 파다했었기 때문이다.[155] 또한 비스콘티 가문의 마지막 공작인 필리포가 1447년 후계 없이 사망하자 프란체스코 스포르차가 사위 자격으로 통치권을 계승하였으나, 필리포의 유일한 후손인 비앙카(1425~1468)는 사생아였기 때문에 정통성에 문제가 있었다. 반면 루이 12세는 할머니 발렌티나(1371~1408)를 통해 혈통을 물려받았으므로 정통성은 자신에게 있다고 주장하였다.

루이 12세는 신성 로마 제국, 영국, 스페인 등과 우호 조약을 맺은 후 1499년 7월 27,000명의 군대(1만 명의 기병과 5천 명의 스위스 용병 포함)를 이끌고 알프스를 넘어왔다. 루도비코는 자신의 두 아들(마시밀리아노, 프란체스코)과 함께 인스부르크로[156][145] 피신했다. 1500년, 루도비코는 두 아들을 인스부르크에 남겨놓고 귀국하여 밀라노를 되찾았으나,[146] 기지가 있는 노바라가 프랑스 군에 포위되었다. 스위스 용병을 포함한 양측 군대가 대치하였는데, 자국인끼리 싸우고 싶지 않았던 스위스 용병들은 노바라를 버리고 돌아갔다. 1500년 4월, 루도비코는 스위스인으로 가장하고 탈출을 시도하다가 프랑스 군에 붙잡혔고, 10월 6일 밀라노는 농성 끝에 프랑스군에 정복당했다.

조반니 암브로조 데 프레디스가 그린 루도비코 스포르차의 초상화.


포로가 된 루도비코는 프랑스 투렌에 있는 로슈 성에 갇혀 지내다 1508년에 죽었다.[145][146] 캉브레 동맹 전쟁 중인 1512년 8월, 스위스 용병과 베네치아 공화국이 합세하여 밀라노에서 프랑스군을 몰아낸 뒤 장남인 마시밀리아노 스포르차가 밀라노 공작으로 추대되었다. 1515년 프랑스 루이 12세가 사망한 후 즉위한 프랑수아 1세는 대관식에서 자신이 밀라노 공작임을 선포한 후 9월에 이탈리아를 침공하였다. 1515년 9월 13일 벌어진 마리냐노 전투에서 승리한 프랑스는 10월 4일 밀라노를 함락시켰다. 마시밀리아노는 프랑스군에 생포되었고 30,000 두캇에 밀라노의 지배권을 포기했다. 이후 마시밀리아노는 프랑스에서 망명 생활을 하다가 1530년 6월에 사망하였다.

4차 이탈리아 전쟁 중인 1521년에 카를 5세가 프랑스로부터 밀라노를 탈환한 후 루도비코의 둘째 아들 프란체스코를 밀라노 공작에 임명하였다. 프란체스코는 문화와 경제적 회복에 노력하였으나 그의 권력은 밀라노에 상주하고 있는 스페인 군대에 의해 제한되었고 이에 대해 많은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 불만이 많던 프란체스코는 스포르차 가문의 밀라노 복귀를 도와준 카를 5세를 1526년에 배반하고, 교황 클레멘스 7세가 주도하고 이탈리아 도시국가들이 참여한 코냑동맹에 가입하여 황제 카를 5세에 대적하여 코냑동맹전쟁에 합류하였다. 전쟁은 코냑동맹군의 대패로 이어졌고 스포르체스코 성에 포위당한 후 밀라노에 대한 통치권을 상실하고 말았다. 1529년 종전(終戰)에 따른 평화협정 시 거액의 배상금()을 물고 나서 밀라노 지배권을 간신히 되찾았다.

1534년 5월 4일, 그는 크리스티안 2세와 이사벨 데 아우스트리아의 딸이자 카를 5세의 조카이기도 했던 덴마크의 크리스티네와 혼인하였다. 1535년 후계 없이 사망하자 황제 카를 5세가 밀라노를 접수한 후 아들 펠리페 2세에게 밀라노를 물려주려 하였다. 프랑스가 이에 반발하며 1536년 3월에 밀라노를 침공함으로 6차 이탈리아 전쟁(1536-38)이 발생하게 된다.

루도비코의 또 다른 아들인 조반니 파올로는 성공한 콘도티에리였으며, 가문 내에서 최초로 카라바조 후작이 되었다. 그러나 프란체스코 사망 후 잠시 밀라노 공국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했었으나, 같은 해에 원인을 알 수 없는 이유로 사망했다.

스포르차가 프랑스에 넘겨진다. 루체른 연대기(1513년)의 삽화.


루도비코는 아스티, 수사, 리옹을 거쳐 1502년 5월 2일 프랑스에 포로로 잡혀 왔다. 막시밀리안 황제는 루이 12세에게 루도비코를 석방해 줄 것을 청원했지만, 국왕은 이를 거절하고 전 공작을 모욕하기로 했다. 심지어 그를 만나는 것조차 거부했다. 루도비코는 여전히 특별 포로로 여겨져 낚시를 하고 친구들을 만날 수 있었다. 1501년, 베네치아에는 루도비코의 정신 상태가 불안정해지고 "정신이 많이 흔들리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97] 국왕은 그를 치료하기 위해 개인 의사와 기분을 돋우기 위해 궁정 난쟁이를 보냈다.[98]

루도비코는 처음에는 피에르시즈 성에, 그 다음에는 부르주 근처의 리스생조르주에 구금되었다. 1504년 그는 로슈 성으로 이감되어 더 많은 자유를 얻었다. 1508년 루도비코는 탈출을 시도했지만 실패한 후 책을 포함한 편의시설을 더 박탈당했다. 그는 생애의 남은 기간을 성 지하 감옥에서 보냈고, 1508년 5월 27일 사망했다.

스위스는 나중에 루도비코의 아들 막시밀리아노 스포르차에게 밀라노 공국을 되돌려주었다. 그의 또 다른 아들 프란체스코 2세도 짧은 기간 동안 공국을 통치했다. 프란체스코 2세는 1535년 사망했고, 그 결과 1536년-1538년 이탈리아 전쟁이 발발하여 밀라노는 스페인 제국에 넘어갔다.

루도비코에 대한 기억은 마키아벨리가 그가 샤를 8세를 초대하여 이탈리아를 침략하게 하고 이후 외세 지배의 길을 열었다고 비난한 것 때문에 수세기 동안 흐려졌다. 이러한 주장은 이후 국민 독립 사상을 지지한 역사가들에 의해 계속되었다. 그러나 최근의 역사가들은 루도비코를 르네상스 시대의 맥락에서 파악하여 통치자로서의 그의 공적을 재평가하고 그의 업적에 대해 더 공정한 평가를 내렸다.[99]

3. 가족 관계

루도비코 스포르차는 밀라노 공작 프란체스코 1세 스포르차와 비앙카 비스콘티 사이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147] 1491년, 에르콜레 1세 데스테의 딸 베아트리체 데스테와 결혼했다. 이 결혼식은 레오나르도 다 빈치도나토 브라만테가 감독했다.[148]

루도비코는 체칠리아 갈레라니를 포함한 여러 애인들이 있었는데, 그녀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흰 족제비를 안은 여인의 모델로 추정된다.

루도비코 스포르차의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부인베아트리체 데스테에르콜레 1세 데스테의 딸, 1491년 결혼
장남마시밀리아노 스포르차1493년 출생, 1530년 사망, 밀라노 공작 (1513-1515)
차남프란체스코 2세 스포르차1495년 출생, 1535년 사망, 밀라노 공작 (1521-1524)
삼남이름 없음1497년 사산, 산타 마리아 델레 그라치에 수도원 문 위에 매장[136]
애인(정부)체칠리아 갈레라니흰 족제비를 안은 여인의 모델로 추정, 아들 체사레 출산
사생아(체칠리아 갈레라니)체사레1491년 출생, 1514년 사망
애인(정부)루크레치아 크리벨리라 벨 페로니에르의 모델로 추정, 아들 조반니 파올로 1세 스포르차 출산
사생아(루크레치아 크리벨리)조반니 파올로 1세 스포르차1497년 출생, 1535년 사망
사생아(베르나르디나 데 코라디스)비안카 조반나1482년 출생, 1496년 사망, 갈레아초 산세베리노와 결혼
사생아(로마나)레오네1476년 출생, 1496년 사망
사생아갈레아초1476년 이전 출생, 요절[141]
사생아스포르차1484/1485년 출생, 1487년 사망[143]



루도비코와 베아트리체의 결혼 생활은 처음에는 원만했다. 루도비코는 아내에게 깊이 빠져 있었고, 그녀를 "나에게 태양의 빛보다 더 소중합니다"라고 표현했다.[37] 베아트리체는 쾌활함과 사치스러움으로 밀라노 궁정을 빛냈으며, 레오나르도 다 빈치도나토 브라만테와 같은 예술가들을 후원했다.[13]

그러나 1496년, 베아트리체가 셋째 아이를 임신했을 때, 루도비코는 루크레치아 크리벨리와의 관계로 인해 부부 관계가 악화되었다. 베아트리체는 1497년 출산 중 사망했고, 루도비코는 큰 슬픔에 빠졌다.[65] 그는 아내의 죽음을 애도하며 2주 동안 은둔 생활을 했고,[70] 아내를 기념하기 위해 동전을 주조하고,[77] 그녀의 문장을 더 자주 사용했으며,[78] 그녀의 초상이 담긴 반지를 착용하는 등[79] 여러 노력을 기울였다.[80][81][82]

4. 문화 예술 후원

루도비코 스포르차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 도나토 브라만테 등 르네상스 시대의 저명한 예술가들을 후원했다.[13] 그의 아내 베아트리체 데스테의 권유로 예술가 후원이 더욱 신중해졌다고 전해진다.[13]

루도비코는 교양 있는 인물로, 라틴어와 프랑스어를 구사했으며, 인문주의자 안토니오 그리포가 베아트리체 데스테의 요청으로 매일 낭독하고 해설하는 단테신곡을 즐겨 들었다.[115]

5. 평가

루도비코 스포르차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르네상스 문화를 후원하고 도시를 발전시킨 점, 외교적 수완을 발휘한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권력욕, 외세 개입 유도, 폭정, 가혹한 처벌 등은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다.[99]

그는 평화로운 시대에는 훌륭한 통치자였지만, 전쟁에는 무능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온화하고 화해를 좋아하는 성격으로 폭력과 잔혹함을 싫어했으며, 전장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려 했고, 죄인에게 가혹한 처벌을 내리는 것을 꺼렸다.[100][101]

프란체스코 말라구찌 발레리(Francesco Malaguzzi Valeri)는 루도비코를 "선량하고 평화를 사랑하며, 그의 선조들이 공국을 강력하고 두려움의 대상으로 만들었던 위험한 대담성과는 거리가 멀었던" 인물로 평가했다. 그는 20년 동안 시민들을 위해 헌신했으며, "우아하고 잘생긴 외모, 교양 있고, 모국어와 라틴어로 글을 잘 쓰는 재치 있는 인물, 문학을 장려하는 자, 훌륭한 연설가, 즐거운 대화와 음악을 사랑하는 자, 열정적인 농부이자 새로운 작물과 농업 산업을 도입한 자, 선견지명 있고 관대한 법률을 원했던 현대적인 사고방식을 가진 인물"이었다고 묘사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루도비코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귀족 중 가장 매력적이고 완벽한 인물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100][101]

많은 역사가들은 그에게 붙여진 "폭군"이라는 칭호가 그의 형인 갈레아초 마리아 스포르차에게 더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갈레아초는 엄청난 고문과 잔혹함으로 신하들과 친구들을 괴롭혔고, 자신의 쾌락을 위해 다른 사람들의 아내를 취했으며, 이는 1476년 그의 암살 동기로 여겨진다.[102] 루도비코는 이러한 점을 경고로 받아들여 분노하는 일이 거의 없었다.

파올로 조비오(Paolo Giovio)는 루도비코를 "매우 인간적이고 청중에게 쉽게 다가가며, 그의 영혼은 결코 분노에 압도되지 않는다. 적당히 그리고 큰 인내심으로 그는 이성을 주었고, 특별한 관대함으로 그는 문학이나 고귀한 예술에서 뛰어난 천재들을 후원했다."라고 묘사했다. 또한 기근이나 전염병이 발생했을 때 식량과 의료에 많은 신경을 썼으며, 도시의 건물들을 정비하고 롬바르디아에 화려함과 부를 가져다주어, 모든 사람에게 황금 평화, 공공 안전 및 은총의 건설자라고 불렸다.[109]

반면, 루도비코는 자만심이 강한 면모도 보였다. 1496년 교황 알렉산더 6세가 자신의 사제이고, 막시밀리안 1세 황제가 자신의 장군이며, 베네치아가 자신의 궁내총무이고, 프랑스 국왕이 자신의 심부름꾼으로 이탈리아를 오가야 한다고 자랑하기도 했다.[3]

자코모 트로티(Giacomo Trotti)는 루도비코를 "두려움이나 필요 때문에가 아니면 사람을 사랑하지 않는" 사람이라고 평가하며, "그는 거짓말쟁이요, 복수심이 많고, 매우 탐욕스럽고, 부끄러움이 없고, 다른 사람의 것을 탐내는…극도로 소심하여 믿을 수 없고… 야심적이며 누구에 대해서도 좋은 말을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루도비코가 한 가지를 말하고 나중에 다른 일을 하는 유형의 사람이며, 누구도 사랑하지 않았고 아무도 그를 사랑하지 않았으며, 이탈리아의 다른 강자들을 과소평가할 수 있다고 확신했던 사람이라고 덧붙였다.[111]

안드레아 프라토(Andrea Prato)는 루도비코가 드물고 신중한 지능을 가지고 있었지만, 잔혹하고 잔인한 일을 듣는 것뿐만 아니라 전투조차 혐오하는 정도로 두려워했다고 비판했다. 프라토는 이것이 루도비코가 군인들에게 사랑받지 못한 이유라고 믿었다.[108]

루도비코는 아내 베아트리체 데스테에게서 강한 성격과 전쟁을 사랑하는 면모를 발견했고, 그녀는 남편의 결점을 보완할 수 있었다. 베아트리체는 그의 가장 충실하고 유효한 협력자였으며, 그녀의 죽음은 그의 몰락을 의미했다.[112] 그는 아내를 맹목적으로 신뢰했고, 그녀에게 큰 자유를 주었으며, 중요한 임무를 맡겼고, 항상 전쟁 회의와 협상에 참여시켰다.

6. 대중문화 속 루도비코 스포르차

루도비코 스포르차는 19세기 미술에서 그의 궁정과 함께 자주 등장하는 소재였다. 낭만주의 시대에는 그의 아내 베아트리체의 죽음으로 인한 깊은 슬픔, 잔 갈레아초 스포르차 공작의 독살 의혹,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 같은 예술가들의 존재와 같은 사건들이 여러 화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루도비코는 여러 문학, 연극, 영화, 드라마, 만화 작품의 주인공으로도 등장한다.

  • 문학:
  • 피에트로 페라리(Pietro Ferrari)의 "루도비코 스포르차 일 모로의 죽음"(1791).
  • 조반니 바티스타 니콜리니의 "루도비코 스포르차 일 모로"(1833).
  • 주세페 캄파냐(Giuseppe Campagna)의 "루도비코 일 모로"(1842).
  • 안토니오 달락쿠아 주스티(Antonio Dall'Acqua Giusti)의 "스포르차 가문"(1856).
  • 칼로 벨지오조소(Carlo Belgiojoso)의 "치코 시모네타: 역사적 서문이 있는 희곡"(1858).
  • 조반니 캄피글리오(Giovanni Campiglio)의 『로도비코 일 모로』 (1837).
  • 디노 보나르디(Dino Bonardi)의 『타는 도시 – 로도비코 일 모로의 소설』 (1933).
  • 에치오 마리아 세베소(Ezio Maria Seveso)의 『로도비코 일 모로의 궁정의 독약, 여자들, 그리고 음모』 (1967)
  • 라우라 말린베르니(Laura Malinverni)의 『공작의 백일』 (2018)
  • 카를로 마리아 로마르티레(Carlo Maria Lomartire)의 『일 모로 – 레오나르도의 밀라노에서의 스포르차 가문』 (2019).
  • 2010년 만화 ''Ludovico il Moro – Signore di Milano''.
  • 드미트리 메레스콥스키(Dmitry Mereskovsky)의 ''레오나르도 – 신들의 부활'' (1901).
  • 마이클 에니스(Michael Ennis)의 ''밀라노 공작부인'' (1992).
  • 페데리코 G. 마르티니(Federico G. Martini)의 ''루도비코 일 모로의 초대'' (1998).
  • 카렌 에섹스의 ''레오나르도의 백조들'' (2006).
  • 카를라 마리아 루소(Carla Maria Russo)의 ''사랑과 전쟁의 날들'' (2016).
  • 마르코 말발디의 ''인간의 척도'' (2018).
  • G. 알베르티니(G. Albertini), G. 괼도니(G. Gualdoni), G. 스타파(G. Staffa)의 ''레오나르도 다 빈치 – 죽은 자의 르네상스'' (2019).

  • 영화 및 드라마:
  • 1971년 RAI 미니시리즈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일생》 (지암피에로 알베르티니가 연기)
  • 1974년 영화 《젊은 루크레치아》 (피에로 룰리가 연기)
  • 1981년 미니시리즈 《보르지아 가문》 (로버트 애쉬비가 연기)
  • 2004년 영화 《Le grandi dame di casa d'Este》 (파올로 카타니가 연기)
  • 2011년 카날플뤼스 시리즈 《보르지아》 (플로리안 피츠가 연기한 카메오)
  • 2011년 쇼타임 시리즈 《보르지아 가문》 (아이반 케이가 연기)
  • 2016년 다큐멘터리 영화 《레오나르도 다 빈치 – 밀라노의 천재》 (빈첸초 아마토가 연기)
  • 2016년~2019년 영국-이탈리아 합작 텔레비전 시리즈 《메디치》 (다니엘레 페치가 연기)
  • 2019년 영화 《Io, Leonardo》 (마시모 드 로렌조가 연기)
  • 2019년 영화 《Essere Leonardo da Vinci》 (파올로 테렌치가 연기, 단순 출연)
  • 2021년 시리즈 《레오나르도》 (제임스 더시가 연기)

참조

[1] 서적 Leonardo da Vinci: Renaissance Man Thames & Hudson
[2] 학술지 The Sobriquets of Medieval European Princes
[3] 서적 Opere inedite di Francesco Guicciardini https://books.google[...] etc 1859
[4] 서적 La chimera di Carlo VIII, 1492–1495 Interlinea
[5] 서적 Gaspare Visconti Tip. Bortolotti di Giuseppe Prato
[6] 웹사이트 LUDOVICO Sforza, detto il Moro, duca di Milano https://www.treccani[...] Istituto della Enciclopedia Treccani 2006-04-27
[7] 서적 Ludovico Maria Sforza Salerno Editrice 2024
[8] 웹사이트 The Eagle and the Viper http://www.historyto[...] 1953-09
[9] 서적 Caterina Sforza
[10] 간행물 Messale latino 7855 Biblioteca Nazionale di Parigi
[11] 서적 Ludovico Maria Sforza Salerno Editrice 2024
[12] 웹사이트 Ludovico il Moro e Beatrice d'Este http://www.paliodimo[...]
[13] 웹사이트 Ludovico Sforza Moro http://www.biografia[...]
[14] 서적 Ludovico il Moro prima della sua venuta al governo
[15] 서적 La dama con l'ermellino. Vita e passioni di Cecilia Gallerani nella Milano di Ludovico il Moro Rizzoli
[16] 서적 L'historia di Milano volgarmente scritta dall'eccellentissimo oratore M. Bernardino Corio etc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Isabella d'Aragona Duchessa di Milano e di Bari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La dama con l'ermellino.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La dama con l'ermellino.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La dama con l'ermellino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1913
[37] 서적 1913
[38] 서적 1913
[39] 서적 Beatrice d'Este (1475–1497) ETS 2008
[40] 서적 Gli Estensi Dall'Oglio
[41] 서적 Beatrice d'Este (1475–1497) ETS 2008
[42] 서적 1921
[43] 서적 1565
[44] 서적 1565
[45] 서적 1913
[46] 서적 1891
[47] 서적 Histoire de Loius XII: ptie. Louis d'Orléans.
[48] 웹사이트 The Civilization Of The Renaissance in Italy https://archive.org/[...] Vienna Phaidon Press 2019-02-28
[49] 서적 1913
[50] 서적 Atti e memorie del Primo Congresso storico lombardo, Como, 21–22 maggio, Varese, 23 maggio 1936 Tip. A. Cordani
[51] 서적 Una cronaca napoletana figurata del Quattrocento
[52] 서적 1565
[53] 서적 1921
[54] 서적 Annali veneti dall'anno 1457 al 1500 1843
[55] 서적 1928
[56] 서적 1883
[57] 서적 Cronaca di Genova scritta in francese da Alessandro Salvago e pubblicata da Cornelio Desimoni Genova, tipografia del R. Istituto de' sordo-muti 1879
[58] 서적 1883
[59] 서적 Archivio storico lombardo Società storica lombarda 1874
[60] 서적 1565
[61] 서적 1889
[62] 서적 La dama con l'ermellino.
[63] 서적 1926
[64] 서적 1928
[65] 서적 1565
[66] 서적 Gli Estensi Dall'Oglio
[67] 서적 Leonardo da Vinci e tre gentildonne milanesi del secolo XV
[68] 서적 1889
[69] 서적 Testamento di Lodovico il Moro Tipografia all'insegna di Dante 1836
[70] 서적 I diarii di Marino Sanuto: (MCCCCXCVI–MDXXXIII) dall'autografo Marciano ital. cl. VII codd. CDXIX–CDLXXVII F. Visentini 1879
[71] 논문
[72] 논문
[73] 논문
[74] 논문
[75] 서적 I diarii di Marino Sanuto iarchive:idiariidima[...]
[76] 논문
[77] 논문
[78] 웹사이트 La Zecca di Milano http://www.piazzasca[...]
[79] 논문
[80] 논문
[81] 논문
[82] 서적 I diarii di Marino Sanuto iarchive:idiariidima[...]
[83] 논문
[84] 서적 Spiritismo nel 1499 – Archivio Storico Lombardo
[85] 서적 Segreti dei Gonzaga Arnoldo Mondadori Editore
[86] 논문
[87] 논문
[88] 서적 Lodovico il Moro e sua cattura, pagine di storia patria
[89] 웹사이트 Ludovico Sforza https://www.britanni[...] 2016-07-05
[90] 서적 I diarii di Marino Sanuto
[91] 간행물 Isabella d'Este e la corte sforzesca
[92] 웹사이트 Dizionario storico svizzero- Ludovico Maria Sforza detto il Moro https://www.beta.hls[...] 2019-05-02
[93] 웹사이트 La Biblioteca Visconteo -Sforzesca http://collezioni.mu[...]
[94] 웹사이트 La Biblioteca Visconteo Sforzesca http://collezioni.mu[...] 2019-03-06
[95] 서적 NOTE SULLA BIBLIOTECA DEI VISCONTI E DEGLI SFORZA NEL CASTELLO DI PAVIA https://www.academia[...] 2019-03-06
[96] 서적 History of Switzerland https://archive.org/[...] Longman, Rees, Orme, Brown, Green, & Longman
[97] 서적 RERUM ITALICARUM SCRIPTORES RACCOLTA DEGLI STORICI ITALIANI dal cinquecento al millecinquecento ORDINATA DA L. A. MURATORI
[98] 서적 The Renaissance Simon and Schuster
[99] online Ludovico Sforza http://www.britannic[...] 1998
[100] 논문
[101] 서적 Ludovico il Moro
[102] 서적 History of Milan
[103] 서적 Ludovico il Moro
[104] 서적 Ritratti et elogii di capitani illustri https://archive.org/[...]
[105] 웹사이트 LUDOVICO Sforza, detto il Moro, duca di Milano https://www.treccani[...]
[106] 서적 Memoriale estense
[107] 간행물 Testimonianze venete su Milano e la Lombardia degli anni 1492–1495 1939-12
[108] 서적 Cronache milanesi
[109] 서적 Opere di Camillo Porzio https://books.google[...] Pomba
[110] 서적 Delle istorie d'Italia di Francesco Guicciardini https://books.google[...]
[111] 서적 Moro! Moro! storie del Ducato Sforzesco Camunia
[112] 논문
[112] 논문
[112] 논문
[112] 논문
[112] 논문
[112] 논문
[113] 논문
[114] 서적 La corte di Lodovico il Moro, la vita privata e l'arte a Milano nella seconda metà del quattrocento 1913
[115] 논문
[116] 서적 Ludovico il Moro
[117] 서적 La signora del Rinascimento. Life and splendor of Isabella d'Este at the court of Mantua
[118] 간행물 Les Relations de Francois de Gonzague, marquis de Mantoue avec Ludovic Sforza et Louis XII. Notes additionnelles et documents
[119] 서적 Diario ferrarese Zanichelli
[120] 서적 Annalia Francisci Muralti I.U.D. patricii Comensis
[121] 서적 Francia, Spagna, impero a Brescia, 1509–1516
[122] 간행물 Revue historique Librairie G. Bailleère
[123] 서적 Ascanio Maria Sforza, la parabola politica di un cardinale-principe del rinascimento
[124] 논문
[125] 서적 Delle memorie di Filippo di Comines, caualiero & signore d'Argentone, intorno alle principali attioni di Lodouico vndicesimo e di Carlo ottauo suo figliuolo amendue re di Francia. Girolamo Bordoni
[126] 논문
[127] 서적 Opere inedite di Francesco Guicciardini https://books.google[...]
[128] 서적 I terribili Sforza Longanesi et C.
[129] 간행물 The Sobriquets of Medieval European Princes
[130] 웹사이트 LA CORTE DI LUDOVICO IL MORO di Giuseppe Diotti (1823) - I personaggi raffigurati https://www.leonardo[...]
[131] 웹사이트 Dolceriso: la torta di Beatrice d'Este e Ludovico il Moro http://www.certosato[...]
[132] 웹사이트 Il Natale in cui Ludovico diventò Il Moro https://laprovinciap[...] 2007-12-26
[133] 서적 Le grandi dinastie che hanno cambiato l'Italia Newton Compton Editori
[134] 웹사이트 VIGEVANO: I FANTASMI https://www.vivivige[...] 2017-07-26
[135] 웹사이트 Le curiose leggende di Vigevano https://www.lascimmi[...] 2021-10-23
[136] 기타
[137] 논문
[138] 서적 Beatrice d'Este (1475–1497)
[139] 서적 Gli Sforza
[140] 서적 Storia di Milano
[141] 서적 La corte di Lodovico il Moro, la vita privata e l'arte a Milano nella seconda metà del quattrocento.
[142] 서적 Raccòlta vinciana
[143] 서적 Beatrice d'Este (1475–1497)
[144] 웹사이트 Ludovico Sforza duke of Milan https://www.britanni[...]
[145]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146] 서적 이탈리아 르네상스 이야기 동서문화사 2011-11-11
[147] 웹사이트 The Eagle and the Viper https://www.historyt[...] 1953-09-01 # 추정 날짜. 월과 연도만 제공됨.
[148] 서적 레오나드로 다빈치와 마키아벨리 세종서적 1988-10-30
[149] 서적 메디치 가 이야기
[150] 서적 메디치 가 이야기 생각의 나무
[151] 백과사전 World Book Encyclopedia Field Enterprises Educational Corporation 1976-01-01 # 정확한 날짜가 없으므로 임의의 날짜 설정
[152] 서적 케임브리지 독일사 시공사 2004-10-15
[153] 서적 세계전쟁사 다이제스트100 가람기획
[154] 서적 메디치 가 이야기 생각의 나무
[155] 서적 르네상스의 여인들 한길사 1997-01-10
[156] 서적 대항해 시대의 탄생 시공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